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액세스토큰
- 재갱신
- 스프링부트
- 메시지
- 트랜잭션
- JIRA
- 도커
- 프로그래머스
- yaml-resource-bundle
- 스프링시큐리티
- 스프링
- springdataredis
- 국제화
- 백준
- 오블완
- CI/CD
- docker
- 티스토리챌린지
- 파이썬
- AWS
- oauth2
- 데이터베이스
- 토이프로젝트
- 리프레시토큰
- Spring
- springsecurity
- springsecurityoauth2client
- githubactions
- 소셜로그인
- java
- Today
- Total
목록2025/02/26 (3)
땃쥐네

파드를 생성하는 방법파드를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CLI 명령을 통해 직접 파드 생성 명령을 기술하는 방식이고,다른 하나는 파일(보통 yaml 파일)을 통해 파드에 대한 명세를 기술하고 이 파일을 통해 파드를 실행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보통 파드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해 설정해야하는 값들은 많고 이를 CLI 명령을 통해 매번 실행, 관리하는 것은 유지보수 관점에서 좋지 않으므로 재사용의 편의를 위해, 파일을 통해 파드를 생성한다.매니페스트 파일(Manifest File)위에서 파드는 파일을 통해 생성한다고 말했는데, 파드뿐만 아니라 쿠버네티스의 다양한 리소스(파드, 서비스, 디플로이먼트, 볼륨, ...) 등을 생성할 때도 파일을 사용해서 생성한다. 이런 리소스들을 생성하는 파..

파드란 파드는 쿠버네티스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최소 단위이다. 도커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컨테이너' 단위로 관리한다면,쿠버네티스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파드' 단위로 관리한다. 다시 말해,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개별적으로 배포하지 않고, 파드 단위로 배포하고 운영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파드가 하나의 컨테이너를 가지게 파드를 설계한다. 물론 위의 그림과 같이 파드 한 개에 컨테이너 2개를 두는 식으로 운영이 가능하긴 하다.그러나 이렇게 파드를 설계하는 경우는 두 파드가 밀접하게 연관된 프로세스인 경우에만 해당한다. 둘의 목적이 아예 다른 경우(예: 프론트엔드 서버 - 백엔드 서버, 결제 서버 - 회원 서버, ...) 는 보통 파드를 따로 분리한다. 파드 = 서버 결국 우리 애플리케이션은..
리스트.sort() 를 통한 정렬 : 원본 리스트 상태 변경def my_sort_func(x): return xarray = [1,3,7,9,6,8,5,2,4]array.sort(key=my_sort_func) # [1, 2, 3, 4, 5, 6, 7, 8, 9, 10]print(array) # [1, 2, 3, 4, 5, 6, 7, 8, 9, 10] 기본적으로 파이썬은 리스트에 대해서 sort 함수를 제공한다. sort 함수는 key 를 통해 정렬 기준을 만드는 함수를 지정하고 이에 따라 정렬을 할 수 있다.기본적으로는 오름차순 정렬을 한다. 예를 들어 위의 my_sort_func 은 x 가 전달되면 x를 반환하는데 이 값이 작을 수록 정렬 시 좀 더 앞서게 된다.여기서 작다는 말은 숫자 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