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ava
- springdataredis
- JIRA
- 파이썬
- 티스토리챌린지
- 액세스토큰
- 데이터베이스
- Spring
- 스프링시큐리티
- 도커
- 국제화
- 스프링부트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githubactions
- springsecurityoauth2client
- 토이프로젝트
- AWS
- CI/CD
- yaml-resource-bundle
- springsecurity
- 리프레시토큰
- 재갱신
- 트랜잭션
- 메시지
- 스프링
- 오블완
- oauth2
- 소셜로그인
- docker
Archives
- Today
- Total
땃쥐네
[CS] 혼공컴운 - 3.2 명령어의 구조 본문
이 글은
- '강민철'님의 책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책을 읽으며 학습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명령어
- 명령어는 연산 코드와, 0개 또는 1개 이상의 오퍼랜드(피연산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 명령어 역시 실제로는 0과 1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1. 연산 코드
1.1 연산 코드(operation-code)
- 연산코드 :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
- 연산코드 필드 : 연산코드가 담기는 영역을 연산 코드 필드라고 한다.
1.2 연산 코드의 종류
- 데이터 전송
- 산술/논리 연산
- 제어 흐름 변경
- 입출력 제어
명령어의 종류와 생김새는 CPU마다 다르기 때문에, 연산코드 종류마다 다르다.
아래에서 서술할 연산코드는 대충 각 CPU마다 공통으로 이해하는 대표적인 연산코드 종류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1.3 데이터 전송 연산 코드
- MOVE : 데이터를 옮겨라
- STORE : 메모리에 저장하라
- LOAD(FETCH) : 메모리에서 CPU로 데이터를 가져와라
- PUSH : 스택에 데이터를 저장하라
- POP : 스택의 최상단 데이터를 가져와라 (* 스택과 큐에 대해서는 맨 아래에 간략하게 설명)
1.4 산술/논리 연산 코드
- ADD/ SUBTRACT / MULTIPLY / DIVIDE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을 수행하라
- INCREMENT / DECREMENT : 오퍼랜드에 1을 더하라 / 1을 빼라
- AND / OR / NOT : 논리곱 / 논리합 / 부정 연산을 수행하라
- COMPARE : 두 개의 숫자 또는 TRUE / FALSE 값을 비교하라
1.5 제어 흐름 변경 연산 코드
- JUMP : 특정 주소로 실행 순서를 옮겨라
- CONDITIONAL JUMP : 조건에 부합할 때 특정 주소로 실행 순서를 옮겨라
- HALT : 프로그램의 실행을 멈춰라
- CALL : 되돌아올 주소를 저장한 채 특정 주소로 실행 순서를 옮겨라
- RETURN : CALL을 호출할 때 저장했던 주소로 돌아가라
1.6 입출력 제어 연산 코드
- READ(INPUT) : 특정 입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라
- WRITE(OUTPUT) : 특정 입출력 장치로 데이터를 써라
- START IO : 입출력 장치를 시작하라
- TEST IO : 입출력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라
2. 오퍼랜드(피연산자)
2.1 오퍼랜드(operand)
- 오퍼랜드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 또는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 오퍼랜드 필드(주소 필드) : 오퍼랜드가 담기는 영역
2.2 오퍼랜드의 갯수에 따른 명령어 분류
- 오퍼랜드 0개 : 0-주소 명령어
- 오퍼랜드 1개 : 1-주소 명령어
- 오퍼랜드 2개 : 2-주소 명령어
- 오퍼랜드 3개 : 3-주소 명령어
- ...
3. 주소 지정 방식
3.1 오퍼랜드 필드에 주소를 할당하는 이유
명령어의 비트 갯수는 제한적인데, 데이터를 직접 담으면 명령어가 제한적인 정보만을 표현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명령어의 비트 갯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로 데이터를 직접 담기보다 데이터의 주소(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이름)를 담는다.
3.2 유효주소
- 연산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유효 주소라고 한다.
- 유효주소는 메모리에 위치하거나, CPU의 레지스터에 존재한다.
3.3 주소 지정방식
오퍼랜드에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명시할 때,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 위치를 찾는 방법.
즉, 유효 주소를 찾는 방법이다.
-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
-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유효 주소(메모리 주소)
-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유효 주소의 주소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유효 주소(레지스터 이름)
- 레지스터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유효 주소를 저장한 레지스터
3.4 즉시 주소 지정 방식(immediate addressing mode)
-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오퍼랜드 필드에 직접 명시하는 방식
-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가 작아지는 단점이 있지만,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메모리나 레지스터로부터 찾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아래에서 후술할 주소 지정 방식들보다 빠르다.
3.5 직접 주소 지정 방식(direct addressing mode)
- 오퍼랜드 필드에 유효 주소(메모리 주소)를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방식
- 표현할 수 있는 유효 주소의 범위에 제한이 있다.
3.6 간접 주소 지정 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
- 오퍼랜드 필드에 유효 주소의 주소를 명시하는 방식
- 두 번의 메모리 접근이 필요하기에, 앞에서 설명한 직접 주소 지정 방식보다는 느리다.
- 직접 주소 지정 방식과 비교했을 때 표현할 수 있은 유효 주소의 범위가 넓다.
3.7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register addressing mode)
- 오퍼랜드 필드에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저장한 레지스터를 직접 명시하는 방법
- CPU의 레지스터에 접근하므로, 직접 주소 지정 방식보다 빠르다.
- 직접 주소 지정 방식과 마찬가지로, 표현할 수 있는 레지스터 크기에 제한이 있다.
3.8 레지스터 간접 주소 지정 방식(register indirect addressing mode)
- 오퍼랜드 필드에 유효주소를 저장한 레지스터를 명시하는 방식
-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는 메모리에 보관한다.
- 유효 주소를 찾는 방법은 간접 주소 지정 방식과 비슷하지만, 메모리에 접근하는 횟수가 한 번으로 줄어들기에
간접 주소 지정 방식보다 빠르다.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과 비교했을 때 표현할 수 있는 레지스터 크기의 제한에 더 자유롭다.
(참고) 스택, 큐
4.1 스택
- LIFO(후입선출)의 자료 구조
- PUSH(삽입), POP(추출)
4.2 큐
- FIFO(선입선출)의 자료 구조
'CS > Computer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혼공컴운 - 4.1 ALU와 제어장치 (0) | 2023.01.29 |
---|---|
[CS] 혼공컴운 - 3.1 소스 코드와 명령어 (2) | 2023.01.13 |
[CS] 혼공컴운 - 2.2 0과 1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2.12.18 |
[CS] 혼공컴운 - 2.1 0과 1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0) | 2022.12.18 |
[CS] 혼공컴운 - 1.2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0) | 2022.12.18 |
Comments